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국민의힘 대선 후보들 모습이 보이고요. 어떤, 뭘까요? <br><br>후보들의 유형을 얘기해볼까 합니다. <br> <br>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이 국민의힘 후보들을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평가했는데요. 들어보시죠. <br><br>[유인태 / 전 국회 사무총장] (CBS 라디오 ‘김현정의 뉴스쇼’) <br>"이런 표현 써도 모르겠는데 그 둘은 좀 건달형이고 양강은." <br><br>[유인태 / 전 국회 사무총장] (CBS 라디오 ‘김현정의 뉴스쇼’) <br>"이미지가 그 둘은 건들건들과 아니에요. 둘은 좀 수재형이고."<br> <br>[유인태 / 전 국회 사무총장] (CBS 라디오 ‘김현정의 뉴스쇼’) <br>"원래 이 지도자는 원래 수재형보다는 좀 약간 건달기가 있어야 지도자가 되더라고요." <br><br>Q. 역시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봐야 해요. 지지율만 봐도 건달 후보가 더 높게 나오고 있네요. <br><br>유 전 사무총장은 이재명 후보도 욕 잘하고 건달기가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후보들의 유형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요. <br> <br>이준석 대표에게 저희 채널A가 물어봤습니다. <br>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]<br>윤석열 총장 같은 경우는 반부패 영역에서 본인이 장점이 있는 후보이고, <br><br>홍준표 후보 같은 경우에는 정치 경험이 굉장히 많은<br><br>원 지사도 개혁적인 성향 <br><br>유승민 후보는 외교 국방 경제 이런 정책 분야에 정통하고 <br><br>공통적인 것 같은데 넷 다 고집이 너무 세요. <br><br>그분의 행정 능력이라는 게 상당히, 가면이 찢어지는 상황이 오겠죠 <br><br>다음 달 5일 최종 후보가 정해지죠.<br> <br>유권자들이 어느 유형을 선택할지 궁금해지네요.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시죠. 선거 '명당'? 이재명 후보 얘기입니까? <br><br>네. 이재명 후보가 여의도에 대선 캠프 사무실을 마련했습니다. <br><br>Q. 거기가 '명당' 인가요? <br><br>여의도 국회 앞에 용산빌딩이란 곳인데요. <br> <br>정치권에서는 이름에 '용'이 들어가고 주변에 한강, 물이 있어 기운이 좋은 명당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. <br> <br>과거 2007년 대선에서 당선된 이명박 후보 캠프가 있던 곳이기도 합니다. <br><br>Q. 명당이라면 다른 후보들도 가고 싶어하겠네요.<br><br><br><br>네, 이미 같은 건물에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홍준표, 원희룡 후보 캠프가 있고요. <br> <br>국민의힘 유승민 후보는 근처 국회의사당 앞에, 윤석열 후보는 나홀로 광화문에 캠프를 차렸습니다. <br> <br>이낙연 캠프는 여의도 근처 대산 빌딩에서 오늘 해단식을 했습니다. <br><br>Q. 집 구할 때 괜히 전에 살던 주인이 잘 되서 나간 집에 들어가고 싶잖아요. 아무래도 후보들도 대통령 배출한 건물에 들어가고 싶겠죠. <br><br>그렇기도 하지만, 현실적인 고민도 있다는데요. <br> <br>실제 건물주들이 캠프 임대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. <br> <br>1, 2년 단위가 아닌 몇 개월 용 단기 임대인데다가, 종종 시위가 열려 시끄럽고, 외부 사람들이 계속 드나들어서 다른 임차인들도 반기지 않는다고 합니다. <br> <br>그러다 보니 여의도 인근에서 선거캠프로 빌릴 수 있는 건물이 한정돼 있다는데요. <br><br>[여의도 인근 부동산 관계자]<br>"웃기는 게 명당이라고 하죠? 그게 명당이 왜 명당이냐면 어쩔 수 없이 남은 몇 개 빌딩 가지고 하다 보니까 거기서 대통령이 당선되고 그러니까 그냥 하는 거지, 사실은 아는 사람들이 보면요. 아무 의미 없는 얘기거든요."<br> <br><br><br>이런 속 사정을 들어보니, 사무실 명당 잡기보다는 유권자 마음 잡기에 더 신경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내가 있는 곳이 최고 명당이다 생각하고 그저 열심히 하는 게 현명할 것 같네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장태민 디자이너